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51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를 통해 본선 진출팀을 가렸다. 카메룬은 전 대회 우승팀 자격으로, 튀니지는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. 13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, 각 조 1위 팀과 4개 팀으로 구성된 조에서 최고 승점을 기록한 조 2위 팀인 짐바브웨가 본선에 진출했다. 최종적으로 알제리, 베냉, 부르키나파소, 카메룬, 콩고 민주 공화국, 이집트, 기니, 케냐, 말리, 모로코, 나이지리아, 르완다, 세네갈, 남아프리카 공화국, 튀니지, 짐바브웨가 본선에 진출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-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
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참가하여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고, 각 조 1위를 차지한 5개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며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겸하여 각 조 상위 3개 팀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. -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-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
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, 2010년 7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, 53개 아프리카 축구 연맹 소속 국가 중 45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를 통해 본선 진출팀을 가렸다. -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-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
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튀니지에서 12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, 나이지리아가 잠비아를 꺾고 우승, 라시디 예키니가 득점왕을 차지했다. -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-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
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이집트에서 개최된 CAF 주최 국제 축구 대회로, 24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알제리가 우승을 차지했고 사디오 마네가 득점왕에 올랐다.
|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| |
|---|---|
| 대회 요약 | |
| 대회 |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|
| 주최국 | 튀니지 |
| 기간 | 2002년 9월 6일 ~ 2003년 7월 6일 |
| 참가팀 수 | 51개국 |
| 본선 진출팀 수 | 16개국 |
| 경기 결과 | |
| 진출 성공 국가 | 튀니지 (개최국) 세네갈 말리 부르키나파소 기니 나이지리아 카메룬 (디펜딩 챔피언) 알제리 모로코 짐바브웨 이집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베냉 코트디부아르 케냐 |
| 통계 | |
| 총 득점 | 498골 |
| 총 경기 수 | 168경기 |
| 경기당 평균 득점 | 2.96골 |
| 최다 득점자 | 파스칼 페인데노 (7골) 마마두 니앙 (7골) |
2. 예선 조 편성 및 결과
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13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, 각 조는 3~4개 팀으로 구성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. 52개 국가 중 소말리아만이 참가하지 않았으며, 카메룬은 전 대회 우승팀 자격으로, 튀니지는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. 지부티, 상투메 프린시페, 기니비사우는 기권했다.
남은 46개 팀은 4개 팀으로 구성된 7개 조와 3개 팀으로 구성된 6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으며, 각 조 1위 팀과 4개 팀으로 구성된 조에서 최고 승점을 기록한 조 2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. 예선은 2002년 9월 6일부터 2003년 7월 6일까지 진행되었다.
각 조의 1위는 다음과 같다.
- 1조: 나이지리아
- 2조: 기니
- 3조: Bénin|베냉프랑스어
- 4조: 부르키나파소
- 5조: 케냐
- 6조: 말리
- 7조: المغرب|모로코ar
- 8조: 세네갈
- 9조: 콩고 민주 공화국
- 10조: 이집트
- 11조: 남아프리카 공화국
- 12조: 알제리
- 13조: 르완다
짐바브웨는 6조 2위를 기록했지만, 4개 팀으로 구성된 조의 2위 팀 중 가장 높은 승점을 얻어 본선에 진출했다.
2. 1. 1조
나이지리아가 2승 2무로 조 1위를 차지하여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. 앙골라는 1승 2무 1패, 말라위는 1승 3패를 기록했다. 지부티는 기권했다.- 2002년 9월 8일, 앙골라 루안다의 시타델라 경기장에서 열린 앙골라와 나이지리아의 경기는 0-0 무승부로 끝났다.
- 2002년 10월 12일, 말라위 릴롱궤의 시보 경기장에서 열린 말라위와 앙골라의 경기는 음와풀리르와의 골로 말라위가 1-0으로 승리했다.
- 2003년 3월 29일, 말라위 블랜타이어의 치치리 경기장에서 열린 말라위와 나이지리아의 경기는 우타카의 골로 나이지리아가 1-0으로 승리했다.
- 2003년 6월 7일, 나이지리아 아부자의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말라위의 경기는 야쿠부의 2골과 N. 카누의 2골, 카녠다의 골로 나이지리아가 4-1로 승리했다.
- 2003년 6월 21일, 나이지리아 베닌시티의 새뮤얼 오그베무디아 경기장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앙골라의 경기는 우체와 오뎀윙기에의 골, 피게이레두와 아콰의 골로 2-2 무승부로 끝났다.
- 2003년 7월 6일, 앙골라 루안다의 시타델라 경기장에서 열린 앙골라와 말라위의 경기는 음소워야, 아콰, 플라비우, 스토피라, 친호의 골과 음강기라의 골로 앙골라가 5-1로 승리했다.
2. 2. 2조
- 기니가 4승 2패, 10득점 3실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여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했다.
- 니제르와 에티오피아는 승점이 9점으로 같았으나, 골득실에서 니제르가 앞서 2위를 기록했다.
- 라이베리아는 2승 4패, 3득점 7실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.
| 날짜 | 팀 1 | 점수 | 팀 2 | 경기장 | 비고 |
|---|---|---|---|---|---|
| 2002년 9월 8일 | 기니 | 3 - 0 | 라이베리아 | 28 세템브르 스타디움, 코나크리 | T. 카마라 (전반 1분), 만사레 (후반 9분), 콘테 (후반 24분) 득점[1] |
| 2002년 10월 13일 | 에티오피아 | 1 - 0 | 기니 | 아디스 아바바 스타디움, 아디스아바바 | 아베게 (후반 18분) 득점[1] |
| 2003년 3월 30일 | 기니 | 2 - 0 | 니제르 | 28 세템브르 스타디움, 코나크리 | 만사레 (전반 40분, 페널티킥), A. 실라 (후반 45분) 득점[1] |
| 2003년 6월 7일 | 니제르 | 1 - 0 | 기니 | 스타드 제네랄 세이니 쿤체, 니아메 | 탱크리 (후반 24분) 득점[1] |
| 2003년 6월 21일 | 라이베리아 | 1 - 2 | 기니 | 아크라 스포츠 스타디움, 아크라 (가나) | 데이 (전반 20분) 득점, 유라 (전반 11분, 후반 5분) 득점[1] |
| 2003년 7월 6일 | 기니 | 3 - 0 | 에티오피아 | 28 세템브르 스타디움, 코나크리 | 유라 (전반 32분, 후반 27분), 펭둔오 (후반 10분) 득점[1] |
2. 3. 3조
| 팀 | 승점 | 경기 | 승 | 무 | 패 | 득 | 실 | 차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Bénin|베냉프랑스어 | 13 | 6 | 4 | 1 | 1 | 12 | 4 | +8 |
| Zambia|잠비아영어 | 9 | 6 | 3 | 2 | 1 | 6 | 5 | +1 |
| السودان|수단ar | 8 | 6 | 3 | 1 | 2 | 9 | 6 | +3 |
| Tanzania|탄자니아sw | 0 | 6 | 0 | 0 | 6 | 1 | 13 | -12 |
'''베냉'''이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. 베냉은 6경기에서 4승 1무 1패, 12득점 4실점을 기록하며 조 1위를 차지했다. 잠비아는 3승 2무 1패, 6득점 5실점으로 2위, 수단은 3승 1무 2패, 9득점 6실점으로 3위를 기록했다. 탄자니아는 6전 전패, 1득점 13실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.[1]
탄자니아는 재정적인 문제로 인해 수단과의 최종 예선 경기를 포기했다. 이 경기는 수단의 3-0 몰수승으로 처리되었다.
2. 4. 4조
'''부르키나파소'''가 6경기에서 4승 1무 1패(승점 13점)를 기록하며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. 콩고 공화국, 모잠비크,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이 그 뒤를 이었다.| 팀 | 승점 | 경기 | 승 | 무 | 패 | 득 | 실 | 차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부르키나파소 | 13 | 6 | 4 | 1 | 1 | 12 | 2 | +10 |
| 콩고 공화국 | 9 | 6 | 2 | 3 | 1 | 5 | 4 | +1 |
| 모잠비크 | 8 | 6 | 2 | 2 | 2 | 3 | 8 | -5 |
|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| 2 | 6 | 0 | 2 | 4 | 3 | 9 | -6 |
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.
- 2002년 9월 8일: République du Congo|콩고 공화국프랑스어 0 – 0 부르키나파소 (알퐁스 마셈바-데바 경기장, 브라자빌)
- 2002년 9월 9일: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1 – 1 모잠비크 (바르텔레미 보강다 경기장, 방기)
- 2002년 10월 13일: 부르키나파소 2 – 1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(4 어거스트 경기장, 와가두구)
- 2002년 10월 13일: 모잠비크 0 – 3 République du Congo|콩고 공화국프랑스어 (막사퀘네 경기장, 마푸투)
- 2003년 3월 30일: 모잠비크 1 – 0 부르키나파소 (마차바 경기장, 마푸투)
- 2003년 5월 4일: République du Congo|콩고 공화국프랑스어 2 – 1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(알퐁스 마셈바-데바 경기장, 브라자빌)
- 2003년 6월 7일: 부르키나파소 4 – 0 모잠비크 (4 어거스트 경기장, 와가두구)
- 2003년 6월 8일: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0 – 0 République du Congo|콩고 공화국프랑스어 (바르텔레미 보강다 경기장, 방기)
- 2003년 6월 21일: 부르키나파소 3 – 0 République du Congo|콩고 공화국프랑스어 (4 어거스트 경기장, 와가두구)
- 2003년 6월 22일: 모잠비크 1 – 0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(마차바 경기장, 마푸투)
- 2003년 7월 6일: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0 – 3 부르키나파소 (바르텔레미 보강다 경기장, 방기)
- 2003년 7월 6일: République du Congo|콩고 공화국프랑스어 0 – 0 모잠비크 (알퐁스 마셈바-데바 경기장, 브라자빌)
2. 5. 5조
'''케냐'''가 4승 1무 1패, 승점 13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하였다. 케냐는 토고를 상대로 3-0 승리, 모리타니를 상대로 4-0 승리를 거두는 등 강력한 공격력을 선보였다.
다음은 케냐의 경기 결과이다.
| 날짜 | 홈 팀 | 결과 | 원정 팀 | 경기장 | 관중 수 |
|---|---|---|---|---|---|
| 2002년 9월 7일 | 케냐 | 3 – 0 | 토고 | 모이 국제 스포츠 센터, 나이로비 | 20,000명 |
| 2002년 10월 12일 | 카보베르데 | 0 – 1 | 케냐 | 카보베르데 국립 경기장, 프라이아 | - |
| 2003년 3월 29일 | 케냐 | 4 – 0 | 모리타니 | 모이 국제 스포츠 센터, 나이로비 | 30,000명 |
| 2003년 6월 6일 | 모리타니 | 0 – 0 | 케냐 | 올림픽 스타디움, 누악쇼트 | - |
| 2003년 6월 22일 | 토고 | 2 – 0 | 케냐 | 케게 스타디움, 로메 | - |
| 2003년 7월 5일 | 케냐 | 1 – 0 | 카보베르데 | 카사라니 스타디움, 나이로비 | 35,000명 |
2. 6. 6조
- 말리와 짐바브웨가 각각 조 1, 2위로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했다. 짐바브웨는 2위 팀 중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.
-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:
| 2002년 | 경기 | 득점 선수 (pen.영어은 페널티킥) | ||
|---|---|---|---|---|
| 9월 8일 | 1 – 0 | 빅토르 | ||
| 9월 8일 | 1 – 0 | 무호니 | ||
| 10월 12일 | 0 – 1 | P. 은들로부 | ||
| 10월 13일 | 3 – 0 | S. 케이타 , 시디베 , D. 쿨리발리 | ||
| 2003년 | 경기 | 득점 선수 (pen.영어은 페널티킥) | ||
| 3월 30일 | 0 – 2 | 티암 , D. 쿨리발리 | ||
| 3월 30일 | rowspan="2" | | 3 – 1 | rowspan="2" | | P. 은들로부 , A. 은들로부 , P. 은들로부 |
| 지알로르 | ||||
| 6월 7일 | rowspan="2" | | 2 – 1 | rowspan="2" | | 발데 , 지알로르 |
| A. 은들로부 | ||||
| 6월 7일 | 1 – 0 | S. 쿨리발리 | ||
| 6월 21일 | 1 – 0 | 페세하예 | ||
| 6월 22일 | 0 – 0 | |||
| 7월 5일 | 0 – 2 | S. 트라오레 , B. 투레 | ||
| 7월 5일 | rowspan="2"| | 2 – 0 | rowspan="2"| | P. 은들로부 |
| P. 은들로부 | ||||
2. 7. 7조
المغرب|모로코ar가 7조에서 5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하였다. Sierra Leone|시에라리온영어는 3승 1무 2패로 2위, Gabon|가봉프랑스어은 2승 4패로 3위, Guinea Ecuatorial|적도 기니es는 1승 5패로 4위를 기록했다.| 팀 | 승점 | 경기 | 승 | 무 | 패 | 득 | 실 | 차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style="text-align:left;" | | 16 | 6 | 5 | 1 | 0 | 10 | 0 | +10 |
| style="text-align:left;" | | 10 | 6 | 3 | 1 | 2 | 7 | 4 | +3 |
| style="text-align:left;" | | 6 | 6 | 2 | 0 | 4 | 7 | 7 | 0 |
| style="text-align:left;" | | 3 | 6 | 1 | 0 | 5 | 3 | 16 | -13 |
7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.
- 2002년 9월 7일: Gabon|가봉프랑스어 0 - 1 المغرب|모로코ar (오마르 봉고 경기장, 리브르빌)
- 2002년 9월 8일: Guinea Ecuatorial|적도 기니es 1 - 3 Sierra Leone|시에라리온영어 (말라보 경기장, 말라보)
- 2002년 10월 12일: Sierra Leone|시에라리온영어 2 - 0 Gabon|가봉프랑스어 (국립 경기장, 프리타운)
- 2002년 10월 13일: المغرب|모로코ar 5 - 0 Guinea Ecuatorial|적도 기니es (물레이 압델라 경기장, 라바트)
- 2003년 3월 29일: Sierra Leone|시에라리온영어 0 - 0 المغرب|모로코ar (국립 경기장, 프리타운)
- 2003년 3월 29일: Gabon|가봉프랑스어 4 - 0 Guinea Ecuatorial|적도 기니es (오마르 봉고 경기장, 리브르빌)
- 2003년 6월 8일: المغرب|모로코ar 1 - 0 Sierra Leone|시에라리온영어 (모하메드 V 경기장, 카사블랑카)
- 2003년 6월 8일: Guinea Ecuatorial|적도 기니es 2 - 1 Gabon|가봉프랑스어 (라 리베르테 경기장, 바타)
- 2003년 6월 20일: المغرب|모로코ar 2 - 0 Gabon|가봉프랑스어 (물레이 압델라 경기장, 라바트)
- 2003년 6월 22일: Sierra Leone|시에라리온영어 2 - 0 Guinea Ecuatorial|적도 기니es (국립 경기장, 프리타운)
- 2003년 7월 6일: Guinea Ecuatorial|적도 기니es 0 - 1 المغرب|모로코ar (라 리베르테 경기장, 바타)
- 2003년 7월 6일: Gabon|가봉프랑스어 2 - 0 Sierra Leone|시에라리온영어 (오마르 봉고 경기장, 리브르빌)
2. 8. 8조
'''세네갈'''이 8조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하였다. 세네갈은 4경기에서 3승 1무(승점 10점)를 기록하며 조 1위를 차지했다.[1] 감비아는 1승 1무 2패(승점 4점)로 2위, 레소토는 1승 3패(승점 3점)로 3위를 기록했다.[1] 상투메 프린시페는 기권했다.[1]- 2002년 9월 8일, 마세루: 레소토 0-1 세네갈
- 2002년 10월 13일, 반줄: 감비아 6-0 레소토
- 2003년 3월 29일, 반줄: 감비아 0-0 세네갈
- 2003년 6월 7일, 다카르: 세네갈 3-1 감비아
- 2003년 6월 14일, 다카르: 세네갈 3-0 레소토
- 2003년 7월 6일, 마세루: 레소토 1-0 감비아
2. 9. 9조
'''콩고 민주 공화국'''이 6경기에서 3승 2무 1패, 승점 11점을 기록하여 조 1위로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했다. 리비아는 승점 10점으로 2위, 에스와티니(구 스와질란드)는 승점 8점으로 3위, 보츠와나는 승점 3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.| 날짜 | 팀 1 | 결과 | 팀 2 | 개최지 |
|---|---|---|---|---|
| 2002년 9월 7일 | 보츠와나 | 0 – 0 | 에스와티니 | 보츠와나 가보로네 |
| 2002년 9월 8일 | 리비아 | 3 – 2 | 콩고 민주 공화국 | 리비아 미스라타 |
| 2002년 10월 13일 | 콩고 민주 공화국 | 2 – 0 | 보츠와나 | 콩고 민주 공화국 킨샤사 |
| 2002년 10월 13일 | 에스와티니 | 2 – 1 | 리비아 | 에스와티니 음바바네 |
| 2003년 3월 30일 | 리비아 | 0 – 0 | 보츠와나 | 리비아 트리폴리 |
| 2003년 3월 30일 | 에스와티니 | 1 – 1 | 콩고 민주 공화국 | 에스와티니 음바바네 |
| 2003년 6월 7일 | 보츠와나 | 0 – 1 | 리비아 | 보츠와나 가보로네 |
| 2003년 6월 8일 | 콩고 민주 공화국 | 2 – 0 | 에스와티니 | 콩고 민주 공화국 킨샤사 |
| 2003년 6월 22일 | 콩고 민주 공화국 | 2 – 1 | 리비아 | 콩고 민주 공화국 킨샤사 |
| 2003년 6월 22일 | 에스와티니 | 3 – 2 | 보츠와나 | 에스와티니 로밤바 |
| 2003년 7월 5일 | 리비아 | 6 – 2 | 에스와티니 | 리비아 트리폴리 |
| 2003년 7월 5일 | 보츠와나 | 0 – 0 | 콩고 민주 공화국 | 보츠와나 가보로네 |
2. 10. 10조
'''이집트'''가 3승 1패로 조 1위를 차지하여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. 마다가스카르는 2승 2패로 조 2위, 모리셔스는 1승 3패로 조 3위를 기록했다. 기니비사우는 기권하였다.| 날짜 | 팀 1 | 결과 | 팀 2 | 경기장 |
|---|---|---|---|---|
| 2002년 9월 7일 | 마다가스카르 | 1 – 0 | 이집트 | 안타나나리보 |
| 2002년 10월 12일 | 모리셔스 | 0 – 1 | 마다가스카르 | 플라크 |
| 2003년 3월 29일 | 모리셔스 | 0 – 1 | 이집트 | 포트루이스 |
| 2003년 6월 8일 | 이집트 | 7 – 0 | 모리셔스 | 카이로 |
| 2003년 6월 20일 | 이집트 | 6 – 0 | 마다가스카르 | 포트사이드 |
| 2003년 7월 6일 | 마다가스카르 | 0 – 2 | 모리셔스 | 안타나나리보 |
2. 11. 11조
- '''남아프리카 공화국'''이 3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했다.
'''경기 결과'''
- 2002년 9월 8일: Côte d'Ivoire|코트디부아르프랑스어 0 - 0 남아프리카 공화국 (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, 아비장)
- 2002년 10월 13일: 남아프리카 공화국 2 - 0 부룬디 (보다콤 파크, 블룸폰테인)
- 2003년 3월 30일: 부룬디 0 - 1 Côte d'Ivoire|코트디부아르프랑스어 (루이 르와가소레 왕자 경기장, 부줌부라)
- 2003년 6월 8일: Côte d'Ivoire|코트디부아르프랑스어 6 - 1 부룬디 (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, 아비장)
- 2003년 6월 22일: 남아프리카 공화국 2 - 1 Côte d'Ivoire|코트디부아르프랑스어 (피터 모카바 경기장, 폴로콰네)
- 2003년 7월 6일: 부룬디 0 - 2 남아프리카 공화국 (루이 르와가소레 왕자 경기장, 부줌부라)
2. 12. 12조
- 2002년 9월 7일: 나미비아 0 - 1 알제리 (빈트후크)
- 2002년 10월 11일: 알제리 4 - 1 차드 (안나바)
- 2003년 3월 30일: 차드 2 - 0 나미비아 (은자메나)
- 2003년 6월 7일: 나미비아 2 - 1 차드 (빈트후크)
- 2003년 6월 20일: 알제리 1 - 0 나미비아 (블리다)
- 2003년 7월 6일: 차드 0 - 0 알제리 (은자메나)
알제리가 3승 1무, 승점 10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하였다. 차드는 1승 1무 2패, 승점 4점으로 조 2위, 나미비아는 1승 3패, 승점 3점으로 조 3위를 기록하였다.
2. 13. 13조
Rwanda영어가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조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했다.
상세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.
- 2002년 9월 7일, 우간다 1 - 0 가나 (나키부보 스타디움, 캄팔라)
- 2002년 10월 13일, 가나 4 - 2 르완다 (아크라 스포츠 스타디움, 아크라)
- 2003년 3월 29일, 르완다 0 - 0 우간다 (아마호로 스타디움, 키갈리)
- 2003년 6월 7일, 우간다 0 - 1 르완다 (나키부보 스타디움, 캄팔라)
- 2003년 6월 22일, 가나 1 - 1 우간다 (쿠마시 스포츠 스타디움, 쿠마시)
- 2003년 7월 6일, 르완다 1 - 0 가나 (아마호로 스타디움, 키갈리)
3. 각 조 2위 팀들의 성적 비교
4개 팀으로 구성된 조의 2위 팀 중, 승점이 가장 높은 팀이 본선에 추가로 진출했다. 짐바브웨가 2위 팀 중 가장 높은 승점으로 본선에 진출했다.
| 조 | 팀 | 승점 | 경기 | 승 | 무 | 패 | 득 | 실 | 차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6 | 13 | 6 | 4 | 1 | 1 | 8 | 3 | +5 | |
| 3 | 11 | 6 | 3 | 2 | 1 | 6 | 5 | +1 | |
| 9 | 10 | 6 | 3 | 1 | 2 | 12 | 8 | +4 | |
| 7 | 10 | 6 | 3 | 1 | 2 | 7 | 4 | +3 | |
| 5 | 10 | 6 | 3 | 1 | 2 | 9 | 7 | +2 | |
| 4 | 9 | 6 | 2 | 3 | 1 | 5 | 4 | +1 | |
| 2 | 9 | 6 | 3 | 0 | 3 | 5 | 6 | -1 |
4. 본선 진출팀
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총 16개 팀이 진출했다. 이들은 자동 진출한 2개 팀과 예선을 통과한 14개 팀으로 구성된다.
| 본선 진출팀 |
|---|
카메룬은 전년도 우승팀 자격으로, 튀니지는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였다.
4. 1. 자동 진출팀
4. 2. 예선 통과팀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